맨위로가기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는 국제 배구 연맹(FIVB)이 주관하는 여자 배구 국가대항전으로, 1952년 소련에서 제1회 대회가 개최되었다. 1964년 올림픽 정식 종목 채택 이후 4년 주기로 개최되며, 2018년까지 총 18번의 대회가 열렸다. 러시아(소련 포함)가 7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본이 5회로 가장 많은 대회를 개최했다. 대회는 예선 라운드와 결선 라운드로 진행되며, 2018년 기준 본선에는 24개국이 참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2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FA 유스컵
    FA 유스컵은 잉글랜드 축구 협회가 주관하는 15세에서 18세 사이 유스팀 토너먼트 대회로, 젊은 선수 기량 향상과 유소년 시스템 발전을 장려하며 잉글랜드 축구 스타들의 등용문 역할을 해왔고, 현재 단일 경기 방식으로 결승전이 진행되며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1952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
    아시아 탁구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탁구연합이 주관하며 아시아 각국을 순회하는 국제 탁구 대회로, 단식, 복식, 단체전으로 구성되어 있다.
  • 국제 배구 연맹 -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FIVB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는 국제 배구 연맹이 주관하는 남자 배구 국가대항전으로, 1949년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에서 시작되어 현재 24개국이 본선에서 경쟁하며, 2025년 대회부터는 32개 팀이 참가할 예정이다.
  • 국제 배구 연맹 - FIVB 남자 배구 월드컵
    FIVB 남자 배구 월드컵은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 사이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1965년 창설되어 초기에는 올림픽 다음 해에 개최되었고 1977년부터 일본에서 영구적으로 개최되었으며 1991년부터는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역할도 겸했으나 2019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폐지 논의 후 2022년에 재개최되었다.
  • FIVB 세계 배구 선수권 대회 - 2014년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국제 배구 연맹 주관으로 이탈리아에서 개최된 2014년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는 대륙 예선을 통과한 23개국과 개최국 이탈리아를 포함한 총 24개국이 참가하여 미국이 우승, 중국이 준우승, 브라질이 3위를 기록했다.
  • FIVB 세계 배구 선수권 대회 - 2018년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2018년 일본에서 국제 배구 연맹 주최로 열린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는 24개국이 참가하여 세르비아가 우승, 중국이 3위를 차지했으며 대한민국은 1차 라운드에서 탈락했다.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대회 정보
대회 명칭여자 배구 세계 선수권 대회
영어 명칭FIVB Women's World Championship
일본어 명칭バレーボール女子世界選手権
주최국제 배구 연맹 (FIVB)
참가 팀 수32개국 (2022년)
첫 대회1952년
마지막 대회(정보 없음)
최다 우승 팀(7회)
최근 우승 팀(2회) (2022년)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제1회 대회는 소련에서 개최되었으며, 참가국은 8개국이었다. 일본은 제3회 브라질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처음으로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1]

1962년 대회에서 일본소련을 꺾고 우승하면서 일본과 소련의 양강 시대가 시작되었다. 1967년 일본 대회는 북한이 정식 국명 문제로 참가를 거부하고 소련이 이에 동조하면서, 일본, 미국, 대한민국, 페루 4개국만 참가했다. 이 대회는 흥행에 실패하고 국제 문제로 비화되었다.[1] 1974년 대회에서도 일본이 우승했다.

2006년 남녀 대회가 일본에서 공동 개최되었고, 2005년 11월에는 2010년 여자 대회 역시 일본에서 개최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여자 대회가 2회 연속으로 동일 국가에서 개최되는 것은 사상 최초이다.

2022년 대회부터 개최지 결정 방식이 공모제로 변경되었다.[2]

2. 1. 기원

FIVB1947년에 설립된 이후 1949년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에서 FIVB 주관으로 세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가 처음 개최되었다. 초기에는 유럽 국가들만 참가했다.

3년 후인 1952년, 여자 대회가 신설되었고 아시아 국가들이 참가하면서 대회 규모가 확대되었다. 다음 대회부터 남미중앙아메리카, 북미 팀으로 참가국이 확장되었다.

배구가 1964년 올림픽에 정식 종목으로 추가되면서, 세계 선수권 대회와 올림픽이 2년마다 번갈아 열리도록 세계 선수권 대회도 4년 주기로 개최되기 시작했다. 1970년부터 아프리카 팀도 대회에 참여하면서, 5개 대륙 연맹의 회원을 가진 대회라는 원래의 목표를 달성했다.

2. 2. 발전 과정

1962년 대회에서 일본소련을 꺾고 우승하면서 일본과 소련의 양강 시대가 시작되었다. 1967년 1월에 일본에서 열린 대회는 일본, 미국, 대한민국, 페루 4개국만 참가했는데, 북한이 정식 국명으로 인정되지 않아 국기 게양과 국가 연주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에 불만을 품고 참가를 거부했고, 소련이 이에 동조하여 참가를 취소했기 때문이다. 일본이 우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대회는 역대 가장 흥행에 실패한 대회가 되었고, 세계 선수권 대회의 전통과 권위가 흔들리는 국제 문제로까지 번졌다.[1] 1974년 대회에서도 일본이 우승했다.

2006년에는 남녀 대회가 공동으로 일본에서 개최되었으며, 2005년 11월에는 2010년 여자 대회도 일본에서 개최될 것이 결정되었다. 여자 대회가 2회 연속으로 동일 국가에서 개최되는 것은 사상 최초이다.

2022년 대회부터 개최지 결정은 공모제로 변경되었다.[2]

2. 3. 역대 우승국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의 역대 우승국과 관련 정보는 다음과 같다.

연도참가국 수개최국우승준우승3위4위
1952년8 소련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불가리아
1956년17 프랑스 소련 루마니아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1960년10 브라질 소련 일본 체코슬로바키아 폴란드
1962년14 일본 소련 폴란드 루마니아
1967년4 일본 일본 미국 대한민국 페루
1970년16 소련 일본 북한 헝가리
1974년23 멕시코 일본 소련 대한민국 동독
1978년23 쿠바 일본 소련 대한민국
1982년23 페루 중국 페루 미국 일본
1986년16 체코슬로바키아 중국 쿠바 페루 동독
1990년16 중국 소련 중국 미국 쿠바
1994년16 브라질 쿠바 브라질 러시아 대한민국
1998년16 일본 쿠바 중국 러시아 브라질
2002년24 이탈리아 미국 러시아 중국
2006년24 일본 러시아 브라질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이탈리아
2010년24 일본 러시아 브라질 일본 미국
2014년24 이탈리아 미국 중국 브라질 이탈리아
2018년24 일본 세르비아 이탈리아 중국 네덜란드
2022년24 네덜란드
폴란드
세르비아 브라질 이탈리아 미국
2025년32



러시아는 (소련 시절 5회 우승 포함) 총 7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국이다. 일본과 쿠바가 각각 3회, 중국이 2회 우승했다. 이탈리아(2002년)와 미국(2014년)은 각각 첫 우승을 차지했다.

소련은 1952년, 1956년, 1960년 대회에서 3연패를 달성하며 초반 강세를 보였다. 일본은 1962년, 1967년 대회에서 소련을 꺾고 2연패를 달성하며, 한동안 소련과 양강 구도를 형성했다. 1978년 쿠바가 유럽 및 아시아 외 국가로는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중국은 1982년, 1986년 대회에서 우승하며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 쿠바는 1994년, 1998년 대회에서 러시아중국을 꺾고 우승하며 전성기를 맞았다.

3. 대회 방식

출전 팀 수는 여러 차례 변경되었지만, 2002년부터 현재까지 24개 팀이 출전하고 있다. 개최국과 지난 대회 우승팀은 자동으로 출전 자격을 얻으며, 나머지 팀들은 각 대륙 예선을 통과해야 한다. 각 대륙별 출전 팀 수는 FIVB 랭킹을 기준으로 배분된다. 단, 2022년 대회는 예외적으로 예선 없이 개최국, 2018년 대회 우승팀, 2021년 각 대륙 선수권 대회 우승 및 준우승팀, 그리고 FIVB 랭킹 상위 팀들에게 출전권이 주어졌다.[1]

3. 1. 현행 대회 방식 (2018년 기준)

대회 본선에는 24개국이 출전한다. 대회 예선은 2년에 걸쳐 시행하며, 개최국은 자동으로 본선 진출권을 획득한다.[1] 대륙별 본선 진출국의 수는 국제 배구 연맹(FIVB)에 의해 결정된다.[1] 대회 본선에 진출하기 위해서는 FIVB에서 관리하는 세계 랭킹에 따라 예선전에 해당하는 대회에 참가하여 탈락하지 않아야 한다.[1] 랭킹이 낮은 국가는 최대 3개의 대회에, 랭킹이 높은 국가는 단 1개의 대회에 참가하면 된다.[1]

대회 본선은 예선 라운드와 결선 라운드로 구성된다.[1] 참가국 수에 따라서는 중간 라운드를 1개 이상 둘 수도 있다.[1] 예선 라운드에서 참가국은 복수의 조로 배정되며, 각 조에서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가 치러진다.[1]

예선 라운드가 종료되면 각 조의 상위 몇 개국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며, 진출에 실패한 팀들은 대회에서 탈락한다.[1] 다음 라운드 진출국 숫자는 해당 대회의 참가국 수, 결선 라운드 방식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된다.[1]

FIVB는 지금까지 결선 라운드에서 다양한 방식을 도입했다.[1] 최근 경향은 결선 라운드에 올림픽 배구 형식을 따른 준결승전과 결승전을 치르는 것이다.[1] 8강전에 이르러 참가국을 복수의 그룹으로 나눈 뒤 라운드 로빈을 진행하는 경우도 있고, 바로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하는 경우도 있다.[1] 후자의 경우 예선을 통과한 참가국들을 8강으로 추리기 위한 중간 라운드를 둘 수도 있다.[1] 선수단 구성에 관해서는 매우 엄격한 규칙이 적용된다.[1]

3. 2. 대회 방식 변천사

대회 본선에는 24개국이 출전하며, 대회 예선은 2년에 걸쳐 시행된다. 개최국은 자동으로 본선 진출권을 획득하며, 대륙별 본선 진출국의 수는 국제 배구 연맹(FIVB)에 의해 결정된다. 본선 진출을 위해서는 FIVB 세계랭킹에 따라 예선전에 해당하는 대회에 참가하여 탈락하지 않아야 한다. 랭킹이 낮은 국가는 최대 3개, 랭킹이 높은 국가는 1개의 대회에 참가한다.

대회 본선은 예선 라운드와 결선 라운드로 구성되며, 참가국 수에 따라 중간 라운드를 추가할 수 있다. 예선 라운드에서는 참가국을 복수의 조로 나누어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 각 조 상위 몇 개국이 다음 라운드에 진출하고, 나머지는 탈락한다. 다음 라운드 진출국 수는 참가국 수, 결선 라운드 방식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FIVB는 결선 라운드에서 다양한 방식을 도입했다. 최근에는 올림픽 배구 형식을 따라 준결승전과 결승전을 치르는 경향이 있다. 8강전에서 참가국을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라운드 로빈을 진행하거나, 바로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하기도 한다. 후자의 경우 예선을 통과한 참가국들을 8강으로 추리기 위한 중간 라운드를 둘 수도 있다. 선수단 구성에는 매우 엄격한 규칙이 적용된다.

경기 방식은 해마다 바뀌지만, 2025년 대회에서는 FIFA 여자 월드컵과 동일한 대회 방식이 적용되었다.

4. 역대 대회 결과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의 역대 대회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도개최국우승점수준우승3위점수4위참가국
1952소련소련라운드 로빈폴란드체코슬로바키아라운드 로빈불가리아8
1956프랑스소련라운드 로빈루마니아폴란드라운드 로빈체코슬로바키아17
1960브라질소련라운드 로빈일본체코슬로바키아라운드 로빈폴란드10
1962소련일본라운드 로빈소련폴란드라운드 로빈불가리아14
1967일본일본라운드 로빈미국대한민국라운드 로빈페루4
1970불가리아소련라운드 로빈일본북한라운드 로빈헝가리16
1974멕시코일본라운드 로빈소련대한민국라운드 로빈동독23
1978소련쿠바3-0일본소련3-1대한민국23
1982페루중국3-0페루미국3-1일본23
1986체코슬로바키아중국3-1쿠바페루3-1동독16
1990중국소련3-1중국미국3-1쿠바16
1994브라질쿠바3-0브라질러시아3-1대한민국16
1998일본쿠바3-0중국러시아3-1브라질16
2002독일이탈리아3-2미국러시아3-1중국24
2006일본러시아3-2브라질세르비아 몬테네그로3-0이탈리아24
2010일본러시아3-2브라질일본3-2미국24
2014이탈리아미국3-1중국브라질3-2이탈리아24
2018일본세르비아3-2이탈리아중국3-0네덜란드24



대한민국은 1967년 대회와 1974년 대회에서 3위를 차지하여 동메달 2개를 획득하였다.

역대 FIVB 세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를 개최한 국가는 다음과 같다.

개최국개최 횟수개최년도
일본51967, 1998, 2006, 2010, 2018
소련31952, 1962, 1978
브라질21960, 1994
프랑스11956
불가리아11970
멕시코11974
페루11982
체코슬로바키아11986
중국11990
독일12002
이탈리아12014


4. 1. 국가별 메달 집계

순위국가------합계
1СССР|소련rua72413
2日本|일본일본어3317
3Cuba|쿠바es3104
4中国|중국중국어2316
5Србија|세르비아srb2013
6United States|미국영어1225
7Italia|이탈리아it1113
8Brasil|브라질pt0415
9Polska|폴란드pl0123
10Perú|페루es0112
11România|루마니아ro0101
12Československo|체코슬로바키아cs0022
12대한민국0022
14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0011



:

a Россия|러시아ru의 성적도 포함.

:
b Србија и Црна Гора|세르비아 몬테네그로sr의 성적도 포함.

4. 2. 국가별 4강 기록

순위국가-- 우승-- 준우승-- 3위4위총계
1소련/러시아724013
2일본33219
3쿠바31015
4중국23218
5미국12227
6세르비아10102
7이탈리아11024
8브라질04116
9폴란드01214
10페루01113
11체코슬로바키아00123
12대한민국00224
13북한00101
14동독00022
15불가리아, 헝가리, 네덜란드00011


5. 기록과 통계

국제 배구 연맹(FIVB)은 전임국의 기록 승계와 관련하여 다음을 인정하고 있다.


  • 러시아는 소련의 기록을 승계한다.
  • 체코는 체코슬로바키아의 기록을 승계한다.
  • 독일은 동독의 기록을 승계한다.
  • 세르비아는 유고슬라비아 및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기록을 승계한다.

5. 1. 국가별 우승 횟수

국가별 우승 횟수
순위국가--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합계
1러시아a72413
2일본3317
3쿠바3104
4중국2316
5세르비아b2013
6미국1225
7이탈리아1113
8브라질0415
9폴란드0123
10페루0112
11루마니아0101
12체코0022
12대한민국0022
14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0011



a: 소련의 성적 포함.


b: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성적 포함.

5. 2. 국가별 개최 횟수


5. 3. 역대 대회 MVP

대회MVP
1982년랑핑
1986년양시란
1990년이리나 키릴로바
1994년레글라 토레스
1998년레글라 토레스
2002년엘리사 토구트
2006년다케시타 요시에
2010년예카테리나 가모바
2014년킴벌리 힐
2018년티야나 보슈코비치
2022년티야나 보슈코비치


참조

[1] 웹사이트 日本バレーボール協会 https://www.jva.or.j[...]
[2] 뉴스 世界バレー開催地、日本は落選 赤字響き予算編成が難航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19-03-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